1. 개발 절차 작성
2. 아이디어톤 발표(PPT 작성하여 발표함)
3. 프로젝트 중 질문사항 정리
4. 각 도메인별 작업 현황
개발 절차 작성
프로젝트 중 질문사항 정리
- refreshToken이랑 accessToken 이 처음에 두개가 같이 생성되는지
- 클라이언트가 api 접근을 하면 프론트에서 accessToken 발급하는거를 처리하는지
- 서버에서 refreshToken을 저장해뒀다가 프론트에서 요청하면 서버에서 꺼내주는지
- 로직을 보면 refreshToken을 저장해놨다가 accessToken이 만료되면 꺼내서 주는게 아니라 refreshToken이 있는지 확인을 하고 있으면 다시 accessToken을 발급해서 response쿠키에 담아서 주던데 이 방법이 맞는지, 그렇다면 refreshToken의 역할은 뭔지??
각 도메인별 작업 현황
- Member
- user 부분 기본 작업 완료, Security 설정 및 JWT 설정 완료
- 1/20(토) Postman 을 통해 작업 확인 및 수정 → PR
- Postman을 통해 작업 확인 후 스벨트킷 공부 및 user부분 프론트 작업 착수
- JWT 및 Security 관련 애매한 코드에 주석 작성 → PR
- Article
- Article 기본 작업 완료 → 추후 comment엔티티 만들어지면 연결
- Article 전체조회, 삭제기능 구현 완료
'[for Rest 프로젝트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azyLoading (1) | 2024.01.30 |
---|---|
Spring Security + JWT (0) | 2024.01.26 |
for Rest 프로젝트 개발기 - 3 (0) | 2024.01.24 |
for Rest 프로젝트 개발기 - 2 (0) | 2024.01.20 |
for Rest 프로젝트 개발기 - 1 (0) | 2024.01.18 |